평화교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회색코뿔소 6

(회색 코뿔소 앞에 선 다윗) 챕터 10_ 문익점 프로젝트

고려 말 원나라에 가서 목화씨를 들여와 한반도에 퍼트린 문익점은 시대의 흐름을 포착하고 국가의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최초의 안트러프러너십 기업가이다. 그동안 삼베옷이나 모시옷으로 추운 겨울을 날 수 밖에 없었던 서민들에게 따뜻한 의복과 이불을 제공함으로써 의료衣料혁명을 가져오고 물레, 씨아 등 직조 기구의 자체 개발을 통해 한반도 면업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는 문익점은 기업가들이 본받을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문익점을 기업가의 측면에서 본 책이 두 권 있다. 하나는 전경일의 책, 『더 씨드: 생존을 위한 성장의 씨앗 문익점의 목화씨는 어떻게 토요타자동차가 되었는가』* 다른 하나는 『기업가 문익점: 목화씨로 국민기업을 키우다』**이다. 이들 책에서 기업가 문익점의 목화씨를 통해 배우는 교훈을 소개한..

(회색 코뿔소 앞에 선 다윗) 챕터 9_ 소송 상황이 벌어질 때

예전과 달리 현대인들은 갈등 상황에서 무조건 법정으로 가서 소송으로 해결하려 한다. 타협과 양보나 이해보다는 소 송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2020 사법연감’에 따르면 한 해 동안 접수된 소송 건수는 663만4,344건으로 2018 년 658만5,580건보다 4만8,764건(0.74%)증가했다. 이 중 71.7%를 차지하는 민사사건은 475만8,651건으로 전년(475 만505건)보다 8,146건(0.17%) 늘었다.* 크리스천 기업들 역시 소송에 휘말려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의 취미, 레져용품 쇼핑몰인 하비 러비Hobby Lobby는 주일에는 꼭 문을 닫는 유명한 크리스천 기업이다. 인앤아웃 버거In-N-Out Burger, 칙필레Chick-fil-A, 트럭운송 커버넌트 트렌스폿Cove..

(회색 코뿔소 앞에 선 다윗) 챕터 8_ 불확실성과 기업가

한국경제연구원의 “기업과 기업가 정신: 이해와 오해”* 라는 글에서 ‘기업가의 역할’에 대해 잘 소개했다. 기업가는 시장과정을 구체화하고 조종하는 것이라고 했다. 세분하자면, 기업가는 세 가지 기능을 하는 인물이다. 첫째, 기업가는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불확실성을 떠맡는 기능을 한다. 그 과정에서 기업가는 이윤 또는 손실을 내기도 한다. 이때 기업가는 불확실한 미래를 잘 예측하면 이윤을 창출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손실을 감당해야 한다. 둘째, 기업가는 자본가로서 자신이 소유한 자본 또는 자산을 이용하여 현재 시점에서 노동과 토지를 구입하고 그 대가로 미래에 최종재화를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본가로서 기업가가 받는 것은 순이자이다. 기업가가 자본가로서 받는 이자는 불확실성이 사라진 가상 세계에서도 남아..

(회색 코뿔소 앞에 선 다윗) 챕터 3_ 적대적인 상대를 만났을 때

사업을 하다보면 우호적인 사람만 만날 수 없다. 뜻하지 않게 가장 가까운 사람이 반대자일 경우도 많다. 그런 이들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전략이 필요하다. 협상의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허브 코헨Herb Cohen의 『협상의 법칙』*을 보면 몇 가지 도움이 된다. 그는 세상의 8할은 협상으로 얻을 수 있다고 장담한다. 그러면서 역사상 최고의 협상가로 ‘두 사람’을 소개했다. ■ 두 사람은 초라한 옷차림으로 사람들에게 질문했다. ■ 두 사람에게는 목표와 기준이 있었다. ■ 두 사람은 항상 위험을 기꺼이 감수했다. ■ 두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지배했다. ■ 두 사람은 죽음의 방식과 장소까지도 선택했다. 이 두 사람은 바로 ‘예수’와 ‘소크라테스’이다. 허브 코헨이 소개하는 협상의 기술 몇 가지가 있다..

(회색 코뿔소 앞에 선 다윗) 챕터 2_ 베드로의 안트러프러너십

어려운 한국경제가 코로나 19라는 악재가 터져 경제 침체와 기업 위기가 장기적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일부 업종의 기업을 제외하고 많은 기업들이 성장률 하락과 매출 부진의 늪에 빠져 있다. 기업마다 위기 극복의 비책을 꺼내 보지만 효과는 미미하기만 하다. 이런 시기에는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 기업가 정신, ‘안트러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을 최초로 주창한 사람은 조셉 슘페터Joseph A. Schumpeter라고 한다. 그는 저서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를 통해 “안트러프러너십이란 새로운 제품, 새로운 생산방법, 새로운 시장개척 등 새로운 조합으로 시장 내에서 변화를 추진하는 혁신적 활동”이라고 정의했다. 슘페터는 이 책에서..